수학
-
원과 지름수학/초3 2022. 2. 4. 17:57
+2022-11-23 소량 수정 1.원의 종류 그림을 보면서 빠르게 알아 봅시다. ① 원 원이 바른 모양을 하고 있을 때 그것을 정원 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원을 사용할 때는 이 형태를 주로 많이 쓰기 때문에, 보통은 정원 이라는 말 보단 이 형태 자체를 원 이라고 부릅니다. ② 타원 / 타원형 위의 바른 원의 형태를 그냥 원 이라고 부르게 되면서 그 이외의 원들을 타원 이라고 하고 타원의 형태를 타원형 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단 , 이때 타원형에 움푹 들어가거나 튀어나오는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타원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2.원의 특징과 지름 지름을 알기 위해선 먼저 원의 특징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원을 그리는 과정을 살펴봅시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원은 선을 한바퀴 돌려서 그려지는 이동의 ..
-
사각형의 특징수학/초3 2022. 2. 4. 16:54
https://mytory.tistory.com/31?category=987786 각도와 형태 https://mytory.tistory.com/25?category=987800 선과 변과 꼭짓점 https://mytory.tistory.com/19?category=987784 도형과 모양의 이름 주제가 도형과 모양 이기 때문에 그림을 보며 넘어가겠습니다. 1.도형의 기.. mytory.tistory.com 이 글은 이전글에서 이어집니다. 이번에 사각형을 따로 다루는 이유는 사각형은 삼각형과 다르게 '각도' 말고도 '길이' 라는 특징이 더 있어야 되기 때문에 주제를 벗어나기 때문입니다. 지난번처럼 이번엔 사각형의 형태별로 이름들과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각형은 각도에 따라서 정말 다양한 형태를 지닐 수 ..
-
각도와 형태수학/초3 2022. 2. 4. 15:17
https://mytory.tistory.com/25?category=987800 선과 변과 꼭짓점 https://mytory.tistory.com/19?category=987784 도형과 모양의 이름 주제가 도형과 모양 이기 때문에 그림을 보며 넘어가겠습니다. 1.도형의 기초 점 이란? 당신이 나무하나 없는 광활한 초원 위에 서있다고 mytory.tistory.com 이 글은 위의 글의 내용과 이어집니다. 이 번엔 꼭짓점들의 모양마다의 이름과, 그 꼭짓점들을 통한 여러 형태들의 이름을 알아보겠습니다. 1.각도 꼭짓점을 기준으로 얼마나 벌어지고 닫혀있는가를 바로 각도 라고 합니다. 그림을 보면서 각도별로 정해진 이름을 살펴보겠습니다. ①직각 꼭짓점을 기준으로 두 변이나 두 선이 ㄴ 의 모양으로 위,옆을 ..
-
분수와 정수의 관계, 그리고 소수수학/초3 2022. 2. 3. 22:52
https://mytory.tistory.com/29?category=987786 분수와 크기 비교 https://mytory.tistory.com/26 곱하기와 나누기 https://mytory.tistory.com/17?category=987783 수학의 기초 수학은 기본적으로 암기장르가 아니라 이해장르이지만, 정해진 기초적인 규칙을 암기 해둘 필요가 있.. mytory.tistory.com 이전 글에선 분수의 개념이 무엇인지 살펴 보았습니다. https://mytory.tistory.com/28?category=987786 100을 넘는 숫자를 한 숫자로 나누기 https://mytory.tistory.com/26?category=987800 곱하기와 나누기 https://mytory.tistory..
-
분수와 크기 비교수학/초3 2022. 2. 3. 20:10
https://mytory.tistory.com/26 곱하기와 나누기 https://mytory.tistory.com/17?category=987783 수학의 기초 수학은 기본적으로 암기장르가 아니라 이해장르이지만, 정해진 기초적인 규칙을 암기 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마치 ㄱ 을 기억 으로 읽는다 처럼 mytory.tistory.com 우리는 앞서서 분수에 대해서 잠깐 간단히 설명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번엔 정확하게 분수라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 해보는 과정을 가져보겠습니다. 1.분수의 개념 그림을 보면서 이해해 보겠습니다. 여기에 붉은 원이 1개가 있습니다. 사과라고 생각하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사과를 반으로 갈랐습니다. 사과는 2조각이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 1조각을 가져가서 먹었습니다. 그러면 사..
-
100을 넘는 숫자를 한 숫자로 나누기수학/초3 2022. 2. 3. 18:01
https://mytory.tistory.com/26?category=987800 곱하기와 나누기 https://mytory.tistory.com/17?category=987783 수학의 기초 수학은 기본적으로 암기장르가 아니라 이해장르이지만, 정해진 기초적인 규칙을 암기 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마치 ㄱ 을 기억 으로 읽는다 처럼 mytory.tistory.com 나누기에 대한 개념은 이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엔 간단하게 100을 넘는 숫자를 나누는 방법만 알아보겠습니다. 318 ÷ 3 을 예시로 같이 풀어봅시다. 아래의 그림을 보겠습니다. 먼저 나누기를 하기 위해서 이렇게 선을 그어 줍니다. 선을 긋는 것이 필수는 아닙니다.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그었습니다. 우리는 318을 숫자 한개씩 한개..
-
10을 넘는 숫자를 곱하기수학/초3 2022. 2. 3. 16:29
https://mytory.tistory.com/26 곱하기와 나누기 https://mytory.tistory.com/17?category=987783 수학의 기초 수학은 기본적으로 암기장르가 아니라 이해장르이지만, 정해진 기초적인 규칙을 암기 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마치 ㄱ 을 기억 으로 읽는다 처럼 mytory.tistory.com https://mytory.tistory.com/22?category=987800 10이상의 숫자를 더하고 빼기 https://mytory.tistory.com/20?category=987784 더하기와 빼기 https://mytory.tistory.com/18?category=987784 숫자를 사용하고 읽는 여러가지 방법 https://mytory.tistory.com..
-
곱하기와 나누기수학/초2 2022. 2. 2. 16:38
https://mytory.tistory.com/17?category=987783 수학의 기초 수학은 기본적으로 암기장르가 아니라 이해장르이지만, 정해진 기초적인 규칙을 암기 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마치 ㄱ 을 기억 으로 읽는다 처럼 이해가 아닌 기초적인 암기의 영역을 뜻합니다. mytory.tistory.com 이 글은 위의 글에 있는 구구단에 대한 설명이 포함 되어있습니다. 구구단을 외우지 않았더라도 이 글을 이해하실 수 있으나 꼭 전부 외우지 않으면 수학을 할 수가 없습니다. 1.곱하기 / 곱셈 / 곱 단어를 읽고 사용하는 방법은 덧셈/뺄셈과 같습니다. 3 x 3 = 9 를 삼 곱하기 삼 은 구 라고 읽으며 곱하는 행위 자체를 곱셈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또한 3 x 3 = 9 를 삼 과 삼의 곱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