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덧셈 / 곱셈 예측 능력 키우기 (short)수학/초5 2022. 2. 8. 20:42
아래의 두 문제를 풀어보면서 스스로 예측 능력을 키워 봅시다. ①덧셈 연습문제 다음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책상이 존재하고 이 책상은 최대 4명의 사람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책상을 2개 붙여서 그림과 같이 총 6명의 인원이 사용할 수 있다면 책상을 15개 붙였을 때 사람의 수는 책상의 수 보다 몇 명 많을까요? ②곱셈 연습문제 그림과 같이 기다란 사다리꼴이 비어있고 이 사다리 꼴을 빨간색으로 채워야 합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그림의 정삼각형 뿐이라고 한다면, 사다리꼴을 빨간 색으로 모두 채우기 위해서 이 정삼각형은 몇개가 필요할까요?
-
교차선과 평행선의 길이의 특징 (short)수학/초5 2022. 2. 8. 20:29
평행선들이 모두 같은 거리에 존재하고, 첫번째 평행선의 시작점(혹은 마지막점) 과 마지막 평행선의 끝점(혹은 시작점)을 연결한 교차선을 그으면, 중간에있는 평행선을 봤을때 교차점 과 시작점(끝점) 사이의 길이가 평행선의 총 길이 ÷ 평행선으로 만들어 지는 면의 갯수 와 같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https://mytory.tistory.com/39?category=987787 평행선과 평행사변형 1.평행 위의 그림처럼 두개의 직선이 지나가고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두개의 선은 이동하면서 결국 만나게 돼는 지점이 있을 것입니다. 이때 이 지점을 교차점 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만약에 두 mytory.tistory.com 평행선이 무엇인지는 이전학년에 다룬적이 있습니다.
-
막대그래프 와 꺽은선그래프 읽고 쓰기수학/초4 2022. 2. 7. 20:48
1.표 위의 어지럽게 놓여져있는 원들의 갯수를 색별로 분류해봅시다. 빨간색 8개 노란색 6개 파란색 7개 그리고 이것을 크기별로 다시 분류해 봅시다. 작은것 큰것 빨간색 4 4 노란색 5 1 파란색 4 3 이렇듯이 구분을 위해서 분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네모난 박스들을 표 라고 합니다. 2.막대 그래프 표의 내용을 기초로해서 막대그래프를 그리면 이렇게 됩니다. ①막대그래프 막대그래프는 눈으로 봤을때 어떤 것이 가장 적고 가장 많은지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만약에 2개 이상의 요소를 비교해 보고 싶을 때는 이런식으로 표현합니다. ②누적 막대그래프 누적 막대그래프로는 이렇게 표현 할 수 있습니다. 누적 막대그래프는 데이터 내부의 구성비율을 확인하면서 비교하기 위해서 쓰입니다. 3.꺽은선 그래프 ..
-
평행선과 평행사변형수학/초4 2022. 2. 7. 19:14
1.평행 위의 그림처럼 두개의 직선이 지나가고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두개의 선은 이동하면서 결국 만나게 돼는 지점이 있을 것입니다. 이때 이 지점을 교차점 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만약에 두 선이 이동하는 방향이 같아서 교차점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 이 두 선을 평행하다 고 하며, 이를 평행선 이라고 합니다. 평행한 두개의 선을 묶어서 평행선 한 쌍 이라고 합니다. 마치 커플을 한쌍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습니다. 평행선 한쌍을 가로지르는 수선을 그었을 때 생겨나는 두개의 교차점 사이의 거리를 평행선의 거리로 취급합니다. 평행선 한 쌍에 임의(아무렇게나)의 선을 그었을때 생겨나는 교차된 각도는 서로 같습니다. 2.사다리꼴 과 평행사변형 ① 사다리꼴 사각형의 두개의 변이 서로 평행하면 이것을 사..
-
수선과 이등변삼각형수학/초4 2022. 2. 7. 18:09
1.수선 과 수직이등분선 수선은 선이나 변에 직각이 되도록 그은 선을 뜻합니다. 이 때, 만약에 그 선이 반으로 갈라진다면, 그것을 수직이등분선 이라고 합니다. 선을 수직으로 갈랐을때 선이 이등분(반) 된다는 뜻입니다. 즉 각도가 90°일때만 수직이등분선이라 하고 그 이외의 각도는 이등분선 이라고 합니다. 2.이등변삼각형 삼각형의 중심이되는 한 꼭지점에서 수선을 그었을 때, 양쪽의 변의 길이가 같으면 그것을 이등변삼각형 이라고 합니다. 이등변삼각형의 양쪽의 내각은 언제나 같습니다. 반대로 말해서 양쪽의 내각이 같으면 이등변 삼각형입니다. 만약 각도의 합이 60°이거나 양쪽 의 각중 하나가 60°가 된다면 이 이등변삼각형은 정삼각형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등변삼각형은 어떻게 그려도 양쪽의 내각이 90°..
-
회전, 내각, 외각 의 특징수학/초4 2022. 2. 7. 16:20
https://mytory.tistory.com/31 각도와 형태 https://mytory.tistory.com/25?category=987800 선과 변과 꼭짓점 https://mytory.tistory.com/19?category=987784 도형과 모양의 이름 주제가 도형과 모양 이기 때문에 그림을 보며 넘어가겠습니다. 1.도형의 기.. mytory.tistory.com 지난번에는 각도가 무엇인지 간략하게만 알아봤습니다. 이번엔 각종 각도들의 특징들을 살펴봅시다. 각도 관련 부분들은 주로 모형 설계에서 사용됩니다. 1. 회전각 이번엔 각도를 선과 선 사이의 이동 거리라고 생각해봅시다. 그렇다고 하면은 90°(구십도) 만큼 한번더 이동해서 이렇게 눕혀진 거리까지의 각도를 90° + 90° 니까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