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분수와 소수의 관계수학/초5 2022. 2. 12. 19:08
https://mytory.tistory.com/30?category=987786 분수와 정수의 관계, 그리고 소수 https://mytory.tistory.com/29?category=987786 분수와 크기 비교 https://mytory.tistory.com/26 곱하기와 나누기 https://mytory.tistory.com/17?category=987783 수학의 기초 수학은 기본적으로 암기장르가 아.. mytory.tistory.com 이전에 소수의 개념이 무엇인지 잠깐 다룬적이 있습니다. 이번엔 분수를 소수로 바꾸고 분수와 소수의 관계를 조금 더 들여다봅시다. 1.소수의 개념 지난번에 소수 0.1 이란 1/10 을 뜻한다고 했었습니다. 그렇다면 0.1의 분모가 10인 이유도 생각해봅시다. 앞..
-
통분과 분수의 크기 비교 (short)수학/초5 2022. 2. 11. 19:03
https://mytory.tistory.com/47 약수와 배수 https://mytory.tistory.com/35 몇 배인지 가늠하기와 공간지각능력 초등학교 고학년 단위로 올라왔기 때문에 앞으로의 글은 곱셈, 덧셈, 뺄셈를 할 수 있고 크기 단위를 읽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 쓰겠습 mytory.tistory.com 지난번에 최소공배수를 배우면서 두 숫자를 똑같은 기준으로 변경하는 하는 과정을 배웠었습니다. 이번엔 분수에 최소공배수를 사용해서 덧셈과 비교를 할 것입니다. 최소공배수를 활용해서 두개의 분수를 비교해 봅시다. 이렇게 분수가 있을때 분모끼리의 최소공배수를 구합니다. 6과 4의 최소 공배수는 12 입니다. 이전에 1/2 나 2/4나 이 둘의 크기는 똑같다고 했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분수를 이렇..
-
약분과 분수의 곱셈수학/초5 2022. 2. 11. 18:32
https://mytory.tistory.com/29?category=987786 분수와 크기 비교 https://mytory.tistory.com/26 곱하기와 나누기 https://mytory.tistory.com/17?category=987783 수학의 기초 수학은 기본적으로 암기장르가 아니라 이해장르이지만, 정해진 기초적인 규칙을 암기 해둘 필요가 있.. mytory.tistory.com 우리는 앞서서 분수에대해서 설명할때 잠깐 약분의 개념이 무엇인지 설명했던 적이 있습니다. https://mytory.tistory.com/47 약수와 배수 https://mytory.tistory.com/35 몇 배인지 가늠하기와 공간지각능력 초등학교 고학년 단위로 올라왔기 때문에 앞으로의 글은 곱셈, 덧셈, 뺄..
-
약수와 배수수학/초5 2022. 2. 11. 16:48
https://mytory.tistory.com/35 몇 배인지 가늠하기와 공간지각능력 초등학교 고학년 단위로 올라왔기 때문에 앞으로의 글은 곱셈, 덧셈, 뺄셈를 할 수 있고 크기 단위를 읽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 쓰겠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 과정에서는 수학과 동시에 '공간지각 mytory.tistory.com 이 글은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이번 내용이 수학의 두번째 고비입니다. 약수는 계산을 하면서 일정 수준이 지나면 11, 13, 17, ... 일일히 대입해가면서 알아가야 합니다. 그런식으로 숫자를 대입하면서 일일히 약수를 구하는 것은 사람이 하기엔 매우 힘든 과정입니다. 약수 구하기는 보통 컴퓨터에게 시켜야 맞는 작업입니다. 그래서 사람이 푸는 문제 풀이에서 사용되는 숫자들은 약수가 작은 숫자들만..
-
숫자의 범위와 어림하기수학/초5 2022. 2. 9. 16:16
https://mytory.tistory.com/21?category=987784 크기와 비교 https://mytory.tistory.com/19 도형과 모양의 이름 주제가 도형과 모양 이기 때문에 그림을 보며 넘어가겠습니다. 1.도형의 기초 점 이란? 당신이 나무하나 없는 광활한 초원 위에 서있다고 생각해봅시 mytory.tistory.com 이 글은 초1 과정에서 이어집니다. 가끔 숫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숫자가 크다면 27041251 같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고 파악하기 힘들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숫자를 간편하게 보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들과 이와 관련되어 알아야 되는 숫자의 범위를 알아봅시다. 1.비교연산 여기에서 말하는 비교연산 이란 여러가지 숫자들 중에서 지금의 숫자는 기준 숫자에 비해 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