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Linux] Database 설치 및 설정개발/개발환경구축 2021. 10. 25. 18:14
windows 설치는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설치하고 설정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Linux 서버에 설치한다는 전제로 진행하겠습니다. 대표적인 Server DB 종류는 아래의 두가지가 있습니다. Oracle : 강력한 프로시저 제공 (유료) Mysql : 가장 널리 사용되는 DB 하지만 이번에 설치할 DB 는 MariaDB입니다. Q : Oracle 은 유료니까 그렇다고 쳐도 그러면 무료인 MySQL 을 쓰면 돼는거 아닌가요? A : Mysql 은 오라클에 인수됬습니다. 그 후로는 JAVA 처럼 사용은 무료, 상업용으로 쓸 경우 유료 라이센스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Q : 그래도 db는 성능하고 속도가 생명인데 역시 대중적으로 쓰이는 DB를 쓰는게 맞지 않나요? A : 성능과 속도로 대결해도 MariaDB 가..
-
[Windows] ECLIPSE 에서 JAVA,TOMCAT, Git, Spring 설정개발/개발환경구축 2021. 10. 22. 15:48
+2022-11-22 설치및 설정 검증 완료 +2022-11-23 현재 Spring 설치 관련한 문제가 발생하여 원인 분석중 +2022-11-24 Spring 설치관련 관련한 대안 마련 +2022-11-25 eclipse 설치관련 수정 +2022-12-02 이미지 수정 본 과정은 필요한 작업을 전부 몰아서 하기 때문에 내용이 무척 깁니다. JAVA -> 톰캣 실행 및 이클립스 개발에 필요한 API를 제공 TOMCAT -> 웹 페이지의 테스트를 실행할 Localhost 서버 ECLIPSE -> 개발환경 IDE , intellij IDE 가 더 편하지만 유료인 관계로 쓰는 IDE SPRING -> 백엔드 객체/접속 경로 설정 프레임 워크 GIT -> 형상관리 - 프로젝트 백업 및 복구 1.java jdk 다..
-
[Linux] 아파치(Apache) 설치 & https 설정 & 톰캣(Tomcat) 설정개발/개발환경구축 2021. 10. 10. 00:57
본 내용은 CentOS/Fedora를 기준으로 작성되어있습니다. 아래의 명령어들은 리눅스에서 관리자모드로 들어왔다는 전제로 합니다. 또한 서버를 활성화 하는 과정에서 셀리눅스 보안에 의해서 일부 과정이 막히기 때문에 enforce mode를 permissive mode 로 전환하여 설치 완료한 뒤에 enforce로 되돌립니다. + 2022-11-21 검증완료, 문제점들을 수정 + 2023-04-10 새롭게 검증, 실행확인 및 수정 -1.SELINUX 를 기록만 남김으로 변경 setenforce 0 0.서버 도메인 획득 여기서 https를 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필요합니다. 도메인은 DuckDNS 나 kro.kr 에서 구할수있습니다. ->FreeDom 로 구하겠다면 도매인을 검색할때 aaa.ga 까지 전부치..
-
Windows 클라이언트 , Linux 서버 간의 SMB (공유파일) 설정방법 (100% 구동확인) (3)개발/개발환경구축 2020. 3. 13. 14:22
(1) 편과 (2) 편을 보셧다면 smb 연결에 성공 하셧을 겁니다. 하지만, ssh를 를 활용한 연결방법은 컴퓨터를 재부팅할때 마다 putty에 접속을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3)편에서는 이걸 깔끔하게 해결해 드립니다. +2022-11-20 실행 검증 확인 및 문맥 정리 1.putty 설정을 저장하기 Session 에서 호스트 아이피를 적으시고 Auth에서 키가 있다면 키등록을 하시고 Tunnels 에서 리다이렉트 잘 설정해주시고 (2편 참고) Connection 에서 숫자를 잘 적어주세요 설명하자면.. ssh는 일정시간 입력이 없으면 Time out이 되어 연결이 끊기게 됩니다. 여기에 써저있는 숫자는 작성자의 경우 (6000)초 마다 서버에 신호를 보내서 안끊기게 합니다. 만약 서버 트레픽..
-
Windows 클라이언트 , Linux 서버 간의 SMB (공유파일) 설정방법 (100% 구동확인) (2)개발/개발환경구축 2020. 3. 11. 10:34
(1)편에서 ssh를 다운로드 받았고, 내용들을 진행했다고 가정하에 진행합니다. https://mytory.tistory.com/2 Windows 클라이언트 , Linux 서버 간의 SMB (공유파일) 설정방법 (100% 구동확인) (1) 작성자는 제한된 정보속에서 일주일간 삽질한 끝에 smb 구동에 성공했네요. 부디 저처럼 삽질하지 말라는 의미로 구동법을 공유합니다. 여러분의 시간은 소중하니까요. -----------------------------------------.. mytory.tistory.com +2022-11-20 내용 소량 수정 및 작동 확인 완료 windows 클라이언트 설정 1.smb 활성화 기본적으로 smb가 막혀 있기 때문에 먼저 활성화 해야합니다.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Windows 클라이언트 , Linux 서버 간의 SMB (공유파일) 설정방법 (100% 구동확인) (1)개발/개발환경구축 2020. 3. 10. 17:22
본 내용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눅스와 윈도우 간의 공유폴더 연결을 다루고 있습니다. 만약 클라우드 환경이 아닐 경우, 본문의 내용중의 리다이렉트 작업은 필요 없을 수도 있습니다. +2022-11-20 필요없는 내용 생략 및 문맥 대량 수정 1.Windows 에서 리눅스에 ssh 접속 Windows 는 10 환경 기준으로 Linux 는 AWS 의 EC2 Linux 환경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환경이 달라도 저 환경보다 어려울 수는 없으니 따라하면 무조건 될껍니다. 일단 윈도우에 ssh먼저 깔아봅시다.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puTTy 입니다. 자신의 리눅스 ip를 입력하고 서버에 접속해 줍니다. VMWare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