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중1
-
제곱과 소인수수학/중1 2022. 2. 27. 18:55
1.소인수 초등 과정에서는 약수와 배수의 개념을 알기 위해서 한숫자를 가장 작은 단위로 분해한 적이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숫자를 여러개의 작은 소수 숫자로 분해하는 것을 소인수분해 라고 합니다. 이때 나오는 2, 2, 3 이라는 소수 숫자를 소인수 라고 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수란 , 가장 작은 숫자로서 약수로 자기자신과 1만을 가지고 있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2.제곱 제곱이란 자기자신을 곱하는 것을 뜻합니다. 우리는 앞서 부피와 넓이를 구하면서 이미 제곱이 무엇인지 알고 있습니다. 제곱은 위에 작은 숫자를 써서 나타냅니다. 이때 위에 작게 써지는 ² 를 지수 라고 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2 라는 숫자가 제곱되는 횟수에 따라서 지수는 2가되고 3이되며 4가될수도 있습니다. 이 때 제곱을 한 숫자에..
-
미지수와 식수학/중1 2022. 2. 27. 17:05
1.미지수로 쓰이는 기호들 미지수란 아직 알수없는 숫자입니다. 이 숫자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알수 없기 때문에 숫자대신에 다른 문자를 사용합니다. 예를들자면 a + 3 = 19 라고할때 이 a를 미지수 라고 합니다. 그리고 준식을 통해서 우리는 a = 16이라는 것을 스스로 예측해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미지수는 무언가를 예측하기위해서 아직 모르는 숫자를 표기할때 쓰인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지수는 주로 알파벳을 사용하지만 마음대로 가져다 쓰는 것이 아니며 나름의 규칙이 있습니다. 기초적으로 쓰이는 사칙연산과 도형에서는 a b c d 순으로 사용합니다. -> a + b = 13 만약 a b c d 와 별개로 구분을 지어서 써야될 땐 m n 을 사용합니다. -> (a+b) - (m-n) = 14 m 과 ..
-
여러가지 숫자의 종류수학/중1 2022. 2. 27. 15:09
1.음수 ①음수의 정의 만약에 원래 가지고 있는 양 보다 더 많은 숫자를 빼야하는 상황이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렇다면 아직 빼야할 2개의 빚이 남게 될 것입니다. 만약에 추후에 4라는 숫자가 추가로 생겼다고 한다면, 이 숫자에서 지난번에 못뺀 숫자를 마저 뺄 것입니다. 이때 이렇게남은 -2 를 바로 음수 라고 합니다. 여기에서 숫자뒤에 따라서 붙은 - 같은 것들을 부호 라고 합니다, 이때 4 - 6 = -2 라고 합니다. ②음수끼리 곱셈 -1이라는 빚이 x 2 로 두배가 돼면 -2가 될것입니다. 그래서 -1 x 2 는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 x -2 가 2가 된다는 것은 사실 쉽게 이해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현실에 대입해서 이러한 경우를 생각할 일이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 ÷ -..
-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수학/중1 2022. 2. 27. 13:08
1.교환법칙 사칙연산중에 숫자의 자리를 바꿔도 항상 결과가 같을 때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라고합니다. 뺄셈은 첫번째 숫자의 자리를 바꾸지 않는다면 교환법칙이 성립합니다. 나눗셈도 첫번째 숫자의 자리를 바꾸지 않는다면 교환법칙이 성립합니다. 그러나 첫번째 숫자를 바꿀경우 교환법칙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곱셈의 교환법칙은 언제나 성립합니다. 2.결합법칙 괄호를 묶어서 계산해도 값이 같을 때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라고 합니다. 뺄셈은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곱셈은 언제나 결합법칙이 성립합니다. 나눗셈은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곱 과 나눔 / 합 과 차 간에는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3.분배법칙 괄호 밖에있는 곱/나눔을 괄호 안에 적용한뒤 계산해도 값이 같을때 분배법칙이 성립한다 라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