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적분] 적분의 성질
    수학/고2 2022. 11. 16. 18:18

     

    성질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접어두겠습니다.

    컴퓨터 작성의 한계로 아래의 두가지 작성 규칙을 둡니다.

    1.∫²₁ 은 F(2)-F(1)의 범위를 의미합니다.

    2.미지수 작성에 한계가 있을때 (-a~a)∫{ f(x) }dx로 작성합니다.


    적분의 성질 {암기}


    ∫(ax²+bx) = ∫(ax²)+∫(bx)

    ∫2(x) = 2∫(x)
    ∫ⁿₓF(x) = F(n)-F(x)
    ∫²₁(x)+∫³₂(x) = ∫³₁(x)
    ∫²₁(x)+∫¹₂(x) = 0 
    ∫{ ƒ(x) }dx + ∫{ ƒ(y) }dy= ∫ƒ(x)dx + ∫ƒ(x)dx
    짝수함수 : ∫(-a~a)f(x)dx = 2∫(0~a)f(x)dx

    홀수함수 : ∫(-a~a)f(x)dx = 0

     

    <부가 설명>

    더보기

     

    ② ∫2f(x) = 2∫f(x)
    dx 일때 x를 제외한 나머지에 대해서만 안/밖의 이동이 가능합니다.
    ex)
    (d/dx)∫ƒ(x)dx=ƒ(x) ,
    (d/dx)ƒ(x)dx=ƒ(x)+C ,
    ∫(d/dx)(ƒ(x)+C₁)dx=ƒ(x)+C₂

    만약 (d/dt)∫f(x)dx 같이 서로가 다른 변수일땐 안/밖의 이동이 가능합니다. 같을때 이동이 불가능한 이유는
    x의 차수가 달라질때 미적분 값이 x²↔2x , x³↔3x²로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④ ∫²₁(x)+∫³₂(x) = ∫³₁(x)
     연속 함수에 대해서만 성립합니다.
     ∫ ²₁(x)+∫¹₂(x) = ∫²₁(x)-∫²₁(x)
     ∫ ⁸₁(x)+∫⁰₈(x) = ∫⁰₁(x)
    ※ 1-8+8-0 = 1-0

    ⑤ ∫²₁(x)+∫¹₂(x) = 0 
    계산식중에 F(a)-F(b)↔F(b)-F(a)로 반전되기 때문에 결과가 3↔-3간의 대칭이 됩니다.

    ⑥ ∫{ ƒ(x) }dx + ∫{ ƒ(y) }dy= ∫ƒ(x)dx + ∫ƒ(x)dx
    x와 y가 둘다 변수라면 정의역이 (-∞~∞) 의 범위를 지니므로 f(x)에 대한 치역이 같은 함수입니다. 

    ⑧ ∫(-a~a)f(x)dx = 0
    ∫(-a~0) = -∫(0~a)
    위에서 설명하는 함수는 기함수와 우함수가 맞으나,
    과 맞물려서 사용되면 조금 다른 용도를 지닙니다.
    ex)
    (-1~1)∫(x³+x²+x+1)
    = ∫(x³+x) + ∫(x²+1)
    = 0 + 2∫¹₀(x²+1)

    어째서 홀수의 지수를 모으면 기함수가 되는가 에 대해서는 삼차함수를 참고합시다.
    그래프 모양의 특성상 로그,무리,지수함수에는 위의 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2.응용

    가독성을 위해서 일부 (a~b)∫{ ƒ(x) }dx 는 (a~b)∫ 로 작성되었습니다.

     

    [확장 지식]

     

    끝값의 변수에 임의값 대입

    (a~x)∫{ ƒ(t) }dt=x²-4x

    이때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a~a)∫ƒ(t)=0 이므로

    a²-4a=0

     

     

    끝값 변수와 적분변수 d값이 같을때

    ƒ(x)=(-1~x)∫{ ƒ(x) }dx일때 x=-1을 대입하면 ƒ(-1)=0

     

     

    적분의 성질에 의한 값 추정

    (-2~2)∫=(-2~0)∫=(0~2)∫ 를 만족하는 ƒ(x)는

    (-2~2)∫=(-2~0)∫+(0~2)∫ 이므로

    이를 만족하는 ƒ(x)=0

     

     

    절대값의 기함수

     

    x|x|그래프

     

    |x|는 우함수일때

    x|x|는 기함수이기 때문에

    (-2~2)∫{ x|x| } = 0 가 성립합니다.

    x가 곱해질 때마다 기함수와 우함수가 반복되는 이유는

    x가 음수일때 x(음수)×|x|(양수)가 성립해서 치역이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홀수함수의 곱

    ƒ(x)=ƒ(-x)일때 우함수, 

    n=홀수 일때 xⁿƒ(x)는 기함수

    즉, 홀수 함수를 곱했을때

    (-a~a)∫(x³-x)f(x) = 0×F(x) 가 성립합니다.

     

     

    기함수 정리에 의한 범위 축소

    g(-x)= - g(x)일때 기함수,

    (-2~3)∫ = (-2~2)∫+(2~3)∫ = (2~3)∫

     

     

    홀수함수 정리에 의한 범위 확대

    중심점이 x=½인 ƒ(x) 에 대하여 ∫(0~1)=0 이 성립한다면

    (1~10)∫ = (0~1)∫+(1~10) = ∫(0~10)∫

     

     

    짝수함수 정리에 의한 범위 변동

    중심축이 -1인 좌우 대칭함수 f(x)에 대하여

    (-2~2)∫ = ∫(-2~-1~0)∫+(0~2)∫ = 2∫(-2~1)+∫(0~2)

     

     


    [기본]

     

    ∫₁³+∫₂⁴+∫₂³ 

    = ∫₁³-∫₃²+∫₂⁴ 

    = ∫₁²+∫₂⁴

    = ∫₁⁴

     

    (9~10)∫ 

    = (9~0)∫ + (0~10)∫ 

    = (0~10)∫ - ∫(0~9)∫

     

    (-2~1)∫+(-1~2)∫

    = (-2~0)∫+(0~1)∫+(-1~0)∫+(0~2)∫

    = ∫(-1~1)+∫(-2~2)

     

    (-a~a)∫{ 5x⁴+3x³-7x-1 }dx

    = ∫{5x⁴-1}+∫{3x³-7x}

    = (0~a)2∫{5x⁴-1}

     


    [풀이]

     

    t로 치환한 홀수함수

    ƒ(x)=x³-2x + ∫⁴₀{ ƒ(t) }dt

    ∫⁴₀{ ƒ(t) }dt = k 라 하면

    ƒ(x)=x³-2x+k

    F(t)=∫(t³-2t+k)

    F(t)=k

    F(t)=∫⁴₀{ ƒ(t) }dt


    [테크닉]

     

    변수에대한 범위

    (1~3)∫{ f(t) }dt = (1~x)∫{ f(t) }dt + (x+3)∫{ f(t) }dt

     

     

     

    '수학 > 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분 未完] 정적분의 활용  (0) 2022.11.17
    [적분] 그래프의 면적 (+기하평균)  (0) 2022.11.17
    [적분] 정적분  (0) 2022.11.15
    [적분] 부정적분  (0) 2022.11.15
    [미분 未完] 속도의 변화율  (0) 2022.11.14

    댓글

개발에 관심을 가지는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