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숫자를 사용하고 읽는 여러가지 방법수학/초1 2022. 1. 8. 20:34
이 글은 수학의 기초를 숙지했다고 가정하여 진행합니다.
0,1,2,3,4,5,6,7,8,9 라는 숫자의 의미는 분류해보면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데이터의 순서를 의미하는 기호
- 데이터의 갯수를 의미하는 기호
- 데이터의 크기를 의미하는 기호
여기에서 우리는 크기란 무엇인가? 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고
우선 순서와 갯수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봅시다.
순서란?
순서는 움직임을 뜻합니다.
눈앞에 빵이있고 그 빵을 먹기 위해선 우리는 어떤 움직임을 보일까요?
- 눈 앞에있는 빵을 봅니다.
- 팔을 움직여서 손을 빵이있는 곳으로 이동합니다.
- 손으로 빵을 잡습니다.
- 팔을 움직여서 빵을 입이 있는 곳으로 이동합니다.
- 입을 벌립니다.
- 입안에 빵을 넣습니다.
- 입을 닫고 빵을 꼭꼭 씹습니다.
- 혀로 빵의 맛을 느낍니다.
- 입안에있는 빵을 삼킵니다.
눈앞에있는 빵을 보면 그다음에는 팔을 손을 빵이 있는곳으로 이동하고, 손으로 그 빵을 잡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보고 무언가가 움직임을 하기 위해선 어떤 행동과 행동들이 계속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1다음은 2일 것이고 다음은 3 다음은 4 다음은 5 ...
3다음에는 4가 있다, 3이전에는 2가 있다를 알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순서라고 하며, 숫자로 그것을 표현합니다.
갯수 와 자릿수란?
갯수는 그림에서 빨간색이 몇개 있는지 세어보면서 파악해봅시다.
빨간색이 1에서 ~ 9 까지 점점 많아집니다.
빨간색이 아니더라고 어떤 물건이 얼마나 많은 가에 따라서 정해둔 숫자 기호를 갯수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갯수가 9를 넘어가고 10이되면 빨간색들을 전부 상자에 묶어서 담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숫자 '10' 에서 '10' 은 이 상자의 갯수를 의미하며 상자가 2면 20, 상자가 3이면 30 이 됩니다.
그리고 그 상자가 9를 넘어가서 10이 되면
상자를 창고 안에 넣어서 창고가 1이니까 100이 됩니다. 이렇게
1 10 100 으로 늘어나면서 생겨나는 빨간색, 상자, 창고를 자릿수 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것들을 각각 1의자리 10의자리 100의자리 라고 읽습니다.
숫자를 읽는 방법은?
0 1 2 3 4 5 6 7 8 9 영 일 이 삼 사 오 육 칠 팔 구
로 읽는 이 숫자들은 한국에서는 어디에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읽는법이 달라집니다.
숫자를 갯수로 사용할때는 이렇게 읽습니다. (100이후로는 백 천 만 으로 같습니다.)
0 없음 1 하나(한) 2 둘 3 셋(세) 4 넷(네) 5 다섯 6 여섯 7 일곱 8 여덟 9 아홉 10 열 11 열하나 20 스물 30 서른 40 마흔 50 쉰 60 예순 70 일흔 80 여든 90 아흔 숫자만 써져있는데 갯수를 표현하기 위해서 써진 숫자면 하나 둘 셋 넷 으로 읽고
1개 2개 3개 나 1명 2명 3명 혹은 1살 2살 3살 같이 앞에 다른 글자가 섞여있다면
한살 두살 세살 네살 열한살 열두살 열세살 열네살 로 읽고 씁니다.
딱 하나 주의해서 헷갈리지 말아야하는 점이 있습니다.
1번 2번 3번 은 갯수가 아니라 순서로 숫자를 사용하는것 이기 때문에
일번 이번 삼번 이라고 읽으며 비슷하게 1등 2등 3등이 있습니다.
1번째 2번째 3번째 는 어떠한 움직임을 했을때 그걸 반복한 갯수를 셀때 사용하기 때문에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라고 읽습니다.
'수학 > 초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짝수와 홀수 (short) (0) 2022.02.09 크기와 비교 (1) 2022.01.31 더하기와 빼기 (0) 2022.01.31 도형과 모양의 이름 (0) 202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