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영체제(암기)정보처리산업기사(실기) 2022. 7. 7. 18:46
모바일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Operating System
-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 사용상 편리와 효과적 사용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
성능
- Through put (처리능력) : 시간당 처리능력
- Turn Around Time (반환시간) : 작업 의뢰에서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
- Availability (사용가능도) : 작업을 의뢰했을때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
- reliability (신뢰도) : 작업을 정확하게 해결하는 정도
기능
- 자원 스케줄링
- 인터페이스 제공
- 하드웨어 / 네트워크 / 데이터 / 자원 관리
- (상세) 프로세스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 주변장치(입·출력 등) / 파일 관리
Windows
- Graphic User Interface(GUI) : 마우스로 그림 요소를 선택하여 이용
- Preemptive Multi-Tasking(선점형 멀티테스킹) : CPU의 자원을 분배 / 오류 자원은 다시 반환
- Plug and Play : 하드웨어 연결시 소프트웨어 자동구성
-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 사진등의 문서를 실행중인 다른 프로그램에 대입
- Single User System (단일 사용자 시스템)
- 255자의 파일명
UNIX(유닉스)
- AT&T 벨 연구소, MIT , General Electirc 1960년 공동개발
- Open System (소스공개)
- Time Sharing System (시분할 시스템)
- C 구조의 높은 이식성 / 확장성을 지님
- 트리 구조 파일
- Multi-User System (다중 사용자 시스템)
Linux(리눅스)
- 리누스 토발즈 1991년 개발
- 무료 공개 오픈 소스
- UNIX 기반의 완벽 호환 구조
UNIX / Linux 구조
- Kernel 커널 :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각종 시스템 관리를 실행함
- Shell 쉘 :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어페이스 , 사용자 명령어를 시스템에 맞게 해석함
- Utility Program : 프로그램 실행과 처리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외부 명령어 프로그램
Mac OS
- 애플이 UNIX 기반으로 1980년 개발
iOS
- UNIX 기반으로 애플이 개발한 모바일 운영체제
Android
- Linux 기반으로 구글이 개발한 모바일 운영체제
- 오픈 소스
Windows 명령어 (cmd 명령어 , f = 파일이름 , dir = 지정할 경로)
- DIR : 현재 위치하고있는 경로의 파일들을 출력함
- COPY f dir : 파일 복사
- MOVE f dir : 파일 이동
- DEL f : 파일/폴더 삭제
- REN filename newname : 파일의 이름을 변경
- TYPE f : 파일의 내용물을 화면에 출력함(text 파일 등)
- FIND "글자검색" f : 파일안에 검색한 글자가 포함되어있는 줄을 출력함
- MD dirname : 새로운 경로(폴더)를 만듬
- CD dir : 지정한 경로로 이동함
- ATTRIB ±옵션 f : 옵션 = +R 읽기전용 / +A 백업 / +S 시스템 파일 / +H 숨김파일
- CLS : 화면상의 글씨들을 모두 비움
- CHKDSK c: : 디스크 상태 확인 / 수정
- FORMAT c:
UNIX / Lunux 명령어 (f = 파일이름 , dir = 지정할 경로)
- ls : 현재 위치하고있는 경로의 파일들을 출력함
- pwd : 현재 자신이 참고하고있는 경로명을 출력함
- cd dir : 지정한 경로로 이동함
- cp f dir/filename : 파일 복사
- mv f dir/filename : 파일 이동 + 이름 변경
- rm f : 파일 삭제
- cat f : 파일의 내용물을 화면에 출력함(text 파일 등)
- find f : 파일이 존재하는 위치를 출력함
- mkdir : 새로운 경로(폴더)를 만듬
- rmdir : 경로를 삭제함
- chmod αβγ f : 아래에서 추가설명
- chown username f : 파일의 소유자를 변경
- ps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출력함
- kill PID : PID 에 해당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함
- killall processname : 프로세스명에 관련된 모든 작업들을 종료함
- fork() : 프로세스를 실행함
- fsck dir : 파일시스템을 검사 / 보수
- top : 메모리 사용 현황을 출력함
- who : 현재 접속중인 유저명들을 출력함
chmod
작성 예제 : chmod u=rwx filename
α : 권한을 지정할 계정단위
- u : 현재 사용중인 계정/ g : 현재 계정이 속한 그룹/ o : 계정외의 기타 접속자 / a : 전부
β : 권한을 뺏거나 주는 연산자
- + : 권한 부여/ - : 권한 삭제/ = 관리자로 지정
γ : 권한을 부여할 내용(동시입력 가능)
- r : 읽기/ w : 쓰기/ x : 실행
chmod 777 f
- 7은 2진수로 111을 뜻하며 각각의 1은 rwx를 뜻함.
- 숫자가 1일때 권한 부여 , 0일때 권한 삭제함.
- 3개의 7은 각각 user / group / other 를 뜻함.
'정보처리산업기사(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흐름(암기) (0) 2022.07.09 네트워크 흐름 (0) 2022.07.09 운영체제 (0) 2022.07.07 코딩 (0) 2022.07.06 SQL(링크 공유) (0) 2022.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