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흐름(암기)정보처리산업기사(실기) 2022. 7. 9. 14:36
모바일은 여기를 확인하세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 ISO 에서 제안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7가지 역활계층
- 물리 계층 : 물리적인 전송 진호를 정의
- 데이터링크 계층: 연결 프레임을 동기화, 통신 순서/오류 제어
- 네트워크 계층 : 패킷 교환 / 중계 , 트래픽 제어 , 라우팅
- 전송 계층 : 종단시스템(말단 기계 to 기계) 간의 설정 / 오류 제어
- 세션 계층 : 대화(전송신호) 관리, 동기점에 따라서 데이터를 회복
- 표현 계층 : 서로 다른 데이터 형태를 서로에게 맞도록 변환/압축/암호화
- 응용 계층 : 사용자 접근 인터페이스 / 프로세스간의 교환관리
Protocol
- 데이터 교환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
- Syntax : 신호와 형식을 규정함
- Semantics : 제어와 오류관리를 규정함
- Timing : 속도와 순서를 규정함
- 응용 프로토콜 : FTP , SMTP , TELNET , DNS , HTTP
- 전송 프로토콜 : TCP , UDP , RTCP
- 인터넷(≒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 IP, ICMP, ARP, RARP
- 에세스 프로토콜 : Ethernet, IEEE 802
IP
-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주소
- 주소와 경로 선택 / 패킷 분해조립
- 비연결형 서비스
- 32bit (8bit x 4)
TCP
- 흐름 / 순서 제어 프로토콜
- 가상회선 연결형 서비스
IPv6
- IPv4의 주소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됨
- 자료전송의 속도와 확장성이 좋음
- 16진수로 표기됨
- 인증성(사용자식별) / 기밀성(접근제어) / 무결성(권한) 보안을 제공함
- 용도에 따라 유니캐스트(1:1) / 멀티캐스트(1:n) / 애니캐스트(근거리통신) 으로 구분
- 128bit(16bit x 8)
IP 영역 (■ : 네트워크 영역 □ : 호스트 영역)
- A Class : ■□□□ : 필요한 호스트가 많을때 사용하는 클래스 (1 ~ 127.x.x.x)
- B Class : ■■□□ : 중대형 (128 ~ 191.255.x.x)
- C Class : ■■■□ : 소규모 (192 ~ 223.255.255.x)
- D Class : 멀티케스트에 사용되는 ip
서브넷 마스크
- 클래스 종류에 따라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비트
- 192.168.1.0/24 = 1이 24번째인 시점에서 구분, 11111111 11111111 11111111 00000000
서브넷팅
- 할당된 호스트를 작게 나누어서 여러 기기에 사용 (ip 분할)
-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000000
- 2진수 11은 3 즉, 3개의 호스트로 나눔
- 000000 (2의 6제곱)의 공간을 3명의 호스트에게 할당
Subnet-Zero :
- 네트워크가 쓰는 0의 주소도 호스트가 사용할 수 있게 설정
- 192.186.1.0 부터 호스트에게 제공
'정보처리산업기사(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장비(암기) (0) 2022.07.09 네트워크 장비 (0) 2022.07.09 네트워크 흐름 (0) 2022.07.09 운영체제(암기) (0) 2022.07.07 운영체제 (0) 20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