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닮음의 개념
도형을 이루는 변의 비율과 내각이 같은 두 도형을 닮은 도형이라고 합니다.
기호로 사용할땐 두 도형 사이에 ∾ 로 표기해줍니다.
입체도형에서 모든 면이 서로 닮았을때 이 둘을 닮은 도형이라고 합니다.
이때 두 도형에서 서로 닮은 면을 대응하는 면 이라고 합니다.
각의 갯수가 짝수일때 두 도형의 내각이 모두 같더라도 닮은 도형이 아닐 수 있습니다.
닮은 도형이 되기 위해선 도형을 이루는 변의 비율이 서로 같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빨간 선 에 대응하는 파란선의 길이의 비율이 1 : 2 라면
초록선에 대응하는 황토색선의 길이의 비율도 1:2 를 만족 해야합니다.
모든변이 이를 만족했을때 두 두형을 닮음 이라고 합니다.
이때 이 도형의 모든 변은 1 : 2 의 비를 만족하므로
이 두 사각형의 닮음의 비 는 1 : 2 라고 합니다.
2.직각삼각형의 닮음
직각삼각형은 사선에서 꼭지점을 향해서 수선을 그었을때
내부의 갈라진 삼각형들과 항상 내각이 일치합니다.
그래서 직각삼각형은 항상 꼭지점을 향하는 수선에 대해서 항상 닮은 삼각형을 만들어냅니다.
'수학 > 중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심 외심 무게중심 (0) 2022.03.25 도형과 비율(short) (0) 2022.03.23 도형 계산 정리(short) (0) 2022.03.22 중2과정에서 배우는 기타 항목2(short) (0) 2022.03.22 함수와 그래프 (long) (0) 202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