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고1

인수분해(지수3의 공식과 여러가지 분해과정)

불친절한 토리씨 2022. 5. 28. 16:44

https://mytory.tistory.com/114

 

인수분해

1.인수분해의 개념 ①인수분해의 정의 인수분해란 이차식 이상의 식을 여러개의 일차식이나 숫자로 분해하는 방법 입니다. 이렇게 분리된 일차식 과 숫자 단위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약수 조

mytory.tistory.com

본 과목은 수학에서 가장 끔찍한 암기와 관찰의 구간입니다.

 

고등 과정에선 기본적으로 중3과정의 인수분해를 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진도를 진행합니다.

워낙에 인수분해를 하는 과정들이 너무 지나치게 많기 때문에 인수분해 과정이 1과2로 나뉘어져 있을 뿐입니다.

 

작성하는 인수분해들의 전개과정은 모두 생략합니다.

인수분해가 90%의 암기 과정이기도하며, 전개과정을 보는 것으로 암기에 도움이 되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남은 10%는 보고 바로 떠올리는 관찰력입니다.


1.지수3의 인수분해

 

1)

 

2)

 


역계산이 더 많이 쓰이는 경우

3)

 

4)

 


역계산의 응용식

5)

 

6)

 


2.지수2의 인수분해

 

① 3항을 지닌 지수2의 인수분해

 

1)

 

2)

 

② 완전제곱식의 변형

 

기본형태

 

1)

 

2)

 

3)

|a|→절댓값 참고

 


3.고차식의 인수분해

 

1) 복이차식

 

2) 조립제법

 


4.인수분해의 8가지 유형

 

당연해 보일수록 필요한 상황에 더 안보입니다. 충분히 암기해야 합니다.

 

1)

xx+2x+x+2 와 지수가 다릅니다.

 

2)

xx+2x+x+2가 aa-bb를 만족하게 합니다.

 

3)

 

4)

 

5)

상수항이 없는 3차식에 씁니다.

 

6)

아래 7번과 이어집니다.

 

7)

 

8) 미지수 치환의 응용

 

풀어서 A의 이차식으로 전개한뒤 인수분해합니다.

 

인수분해를 역으로 전개할때 씁니다.

 

이중 치환문제는 모르면 당해야 합니다.

 


인수분해가 되지 않는 이차식의 근은 근의공식 을 활용합시다.

이 글은 응용과 심화편으로 이어집니다.

 

 

댓글수0